세상 사는 이야기

법동 석장승길

비단모래 2015. 4. 27. 15:59

 

 

 

 

 

 

^^
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이길 따라 가면 나오는 은진송씨 정려각과 송애당 그리고 쌍청각 이야기를 조금 더 하자면

 

*은진송씨정려각

은진송씨 정려각은 대전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4호로

 은진송씨의 지극한 효성을 널리 알리기 위해 영조 때 내린

정려기를 보호하기 위한 누각이다.

은진송씨는 임천군수를 지낸 송남수(宋柟壽)의 딸이며,

 계림군김정(金程)의 후손인 진사 김광유(金光裕)의 아내이다.

 그녀는 회덕현 백달촌 중리에서 태어나 22세 때 결혼했으나

몇 달 만에 남편이 26세로 세상을 떠났다.

그러자 곧바로 남편을 따라 자결하려 하였으나,

당시 임신 중이어서 부친의 간곡한 만류로 죽지 못하고,

회덕 송촌에서 부모에 의지하여 유복자인 경여를 낳아 훌륭하게 키웠다.

 

* 송애당

대전광역시 유형문화재 제8호로

조선 인조 때 김경여(金慶餘)의 별당건물로

그의 호를 따 송애당이라 하였다.

야산을 배경으로 한 서남향집으로, 정면 3칸, 측면 2칸 크기이다.

내부 좌측 2칸통(間通)은 대청이고 우측 한칸통은 나누어 온돌방을 들였다.

온돌방 뒷면은 반칸을 안으로 들여서 반침(半寢:큰 방에 붙은 작은 방)을 두었고,

 그 아래는 함실아궁이[函室焚口]로 이용하였고, 기둥은 각진기둥을 사용하였다.

공포가 없는 민도리집이나 기둥머리에 양봉형(樑奉形)

부재가 있고 꾸밈 초각(草刻 : 당초무늬를 세긴 것)이 있다.

대들보 위에는 양쪽에 동자주(童子柱 : 세로로 세운 짧은 기둥)를

세워 종량(宗樑)을 받쳤고, 제형대공(梯形臺工)은

모두 낮은 것을 써서 지붕의 경사를 완만하게 하였다.

 

 

*쌍청당

대전 유형문화재 제 2호 

조선 전기의 고가(古家)인 회덕 쌍청당」은

조선 전기의 학자인 쌍청당 송유(雙淸堂 宋愉, 1388~1446) 선생의 별당으로

조선시대에는 민간에 단청하는 것을 법으로 금하였는데도

건물에 단청을 한 점이 특색있다.

 

 

 

 

^^

'세상 사는 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시장에 가면  (0) 2015.04.29
통일송 개사 경연대회  (0) 2015.04.28
한시낭송  (0) 2015.04.26
감사와 사랑의 손편지쓰기 심사를 하고  (0) 2015.04.26
첫 작품  (0) 2015.04.24